티스토리 뷰

반응형

4월 4일 공식적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파면 후 각 당에서는 대통령 후보들을 선출하고 있습니다. 역시나 이재명 후보도 지금 직위를 내려놓고 대선출마를 선언했습니다. 항상 선거시즌이 되면 후보와 관련인는 테마주, 관련주가 오르락 내리락하는데요. 오늘은 대선 후보 이재명 테마주, 관련주 총정리 (A-Z)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재명 테마주

목차

  1. 정치 테마주란 무엇인가?
  2. 이재명 관련주, 왜 주목받나
  3. 대표 종목 소개
  4. 주가 변동 요소
  5. 장·단점과 투자 유의사항
  6. 향후 대선 일정과 시장 전망

1. 정치 테마주란 무엇인가?

정치 테마주는 특정 정치인 또는 정책과 연계된 기업들의 주가가, 실제 사업 실적과 무관하게 뉴스나 여론에 의해 단기간 급등·급락하는 종목을 뜻합니다. 예컨대 정치인이 언급한 핵심 공약, 임직원·오너가 정치인과 얽힌 인연, 지역 기반 등이 마치 ‘연결고리’처럼 부각되어 주가에 영향을 미치죠. 이게 공시자료가 아닌 루머성 정보일 때도 많아, 늘 투자에 신중이 필요합니다.


2. 이재명 관련주, 왜 주목받나

최근 대통령 탄핵 후 치러질 조기 대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유력 후보군 중 하나로 거론되면서, 시장에서는 “이재명 테마주”가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한때 성남시장·경기도지사를 지내며 다양한 정책을 펼쳤던 이 대표가 대선 레이스에 본격 참여하면, 관련 정책이나 학연·지연 이슈로 인해 특정 종목들이 또 한 번 ‘테마’로 묶여 단기 급등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형성된 것이죠.


3. 대표 종목 소개

동신건설
- 건설업체로, 경북 안동(이재명 대표의 고향) 기반이 부각되며 테마로 묶였습니다.

- 지역 개발 기대나 건설 정책 수혜를 기대하는 흐름이 종종 언급되곤 합니다.

이재명 관련주

 

일성건설 

- ‘기본주택’ 등 과거 이재명 지사 시절 정책과 연결해, 시장에서 건설사 수혜 가능성을 점치는 사례.

- “정책 테마주”로서 주목받고 있는 건의 대표적 예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대선 테마주

상지건설

- 예전 사외이사가 이 대표의 선거캠프에 참여했었다는 소문이 돌며, 테마주로 언급됩니다.

- 시장은 캠프 인연을 기업 가치 상승 요인으로 단순 연결지으려는 경향이 있죠.

- 현재는 거래중지 상태입니다.

상지건설

오리엔트정공 / 이스타코

- 이재명 대표의 청년기 근무지로 알려진 ‘오리엔트시계’와 관련 지어, 동일 그룹 계열사나 인맥을 탐색해 테마주로 묶었습니다.

- 상징성만으로 주가가 들썩거린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오리엔트정공 주가
이스타코

형지엘리트

교복 전문업체. 이재명 전 지사가 “무상교복” 정책을 도입했던 경기도 시절 연관 정책 수혜 기대감이 반영돼 테마로 언급됩니다.

형지엘리트

카스

- 대표이사가 이재명 대표와 연수원 동기라는 이야기가 있어, 주식시장이 이를 “학연”으로 묶어 주가를 흔들곤 합니다.

카스

에이텍

- 성남에 본사를 두고 있고, 옛 성남시장 재직 시절 관계자로부터 지원을 받았다는 설이 퍼지며 테마주로 편입.

- 주로 공공분야 IT, 디스플레이 사업을 영위해 “지자체 사업 수혜” 가능성을 점치는 의견도 있었죠.

에이텍

수산아이앤티

- 보안 솔루션 업체로, 이재명 캠프 활동 이력이 있는 인물이 회사와 연결됐다는 풍문에 따라 테마로 묶였습니다.

수산아이앤티

 


4. 주가 변동 요소

정치 테마주는 이름값으로 올라가기도 하지만, 단 한 건의 소문이나 인터뷰로도 급락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선과 같은 “정치 빅 이벤트”가 다가오면, 기사 하나에 수십 퍼센트 변동이 생길 정도죠. 또 정치인 본인이 부정적 이슈에 휩싸이면, 연관 종목도 함께 타격받는 경우가 흔합니다.


5. 장·단점과 투자 유의사항

테마주 장단점

장점

  • 정책 발표·이슈 발생 시, 단기간에 강한 상승이 있을 수 있음
  • 적은 자금으로도 급등 종목 진입이 가능해 ‘한 방’ 수익을 노리는 경우도 존재

단점

  • 기업의 펀더멘털(실적·재무)과 무관하게 폭등·폭락이 빈번
  • 선거가 끝나거나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오면 매수세가 급속도로 빠질 수 있음

유의점

  • 철저히 ‘테마’로써 접근해야 하며, 회사 실적·재무 안정성까지 확인하지 않으면 큰 손실 우려
  • 루머성 정보를 맹신하기보다, 실제로 해당 기업이 그 정치인과 어떤 식으로 연계돼 있는지 공시나 신뢰도 높은 자료로 검증이 필요

6. 향후 대선 일정과 시장 전망

이번 대통령 탄핵 후 치러지는 조기 대선은 6월 3일(화) 유력설이 돌며, 이미 각 정당 후보군이 치열한 경쟁에 들어갔습니다. 만약 이재명 대표가 유력 주자로 떠오르면, 이재명 관련주 도 다시금 부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 과거 사례들을 보면 선거 직전까지 치솟던 주가가 선거 이후 혹은 예비경선 탈락 등으로 한순간에 폭락하기도 합니다.

결국 정치 테마주는 “본질 가치보다 이슈에 극도로 민감”하므로, 단기매매성 접근이 잦고 위험도 높습니다. 일반 투자자라면 급등장에 휩쓸려 무리해서 들어가기보단, 기업의 진짜 실체와 시장 유동성 상황을 냉정히 살핀 뒤 대응하는 편이 안전합니다.

“테마는 기대감으로 오르고 결과 발표에 빠진다” 라는 말이 있듯, 정치 테마주는 특히 선거 직후에 급락하는 패턴이 반복돼 왔습니다. 요컨대, “묻지마 상승”에 홀려 무턱대고 진입하기보다는 차분하게 리스크를 생각하면서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Today
Yesterday
최근에 달린 댓글
공지사항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300x250